Web Services Resource Framework (WSRF) for J2ME – version 0.1

The Web Services Resource Framework (WSRF) is a set of specifications to enable stateful Web Services. The WSRF Primer document gives a quick introduction what WSRF is all about. WSRF is heavily used in Grid Computing. The Globus Toolkit for example, an “open source software toolkit used for building grids”, exposes most of it’s Grid functionality as WSRF-based Web Services.

During a school project I was researching different possibilities to connect to a Grid System with mobile devices. It seemed to be logical that most of the approaches used a proprietary protocol (over plain HTTP) between the mobile client and a gateway, which in turn translated the proprietary protocol into standards-based WSRF calls to the actual grid system. The main reasons for using “lightweight” proprietary protocol instead of using WSRF-based Web Services directly were said to be the “constrained resources” (such as low bandwith, limited processing power, less memory, small display, etc…) of mobile devices, which I believe is only partially true with current mobile devices.

WSRF 4 J2ME UML

To cut the long story short, there are no WSRF implementations available for J2ME, thus I had to develop one from scratch. Well, not totally from scratch, because WSRF 4 J2ME builds upon the kSOAP2 API. The class diagram above (click to enlarge) gives an overview of the WSRF 4 J2ME. For more details, source code and a J2ME sample application please refer to the wsrf4j2me project on Google Code. The sample application is located here (note: you don’t need to have Globus Toolkit 4 completely installed – the Java WS Core container is sufficient to test the application):

1 comment so far

  1. […] 모바일 자바에 대한 최신 소식을 접할 수 있는 ShareMe Technology LLC  블로그에서 접한 소식입니다. WS-RF스펙을 J2ME상에서 구현해버린 프로젝트인데요. 개발자의 블로그에서 자세한 소개글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WS-RF는 그리드 컴퓨팅과 웹 서비스의 만남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그리드컴퓨팅을 웹서비스로 묶어내자는 OGSI가 WSDL기반의 웹서비스의 확장이었고, 이를 WS-RF기반으로 다시 리팩토링 하는 시도가 진행되면서,  OGSA의 필수요소로 자리잡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실용적인 그리드를 위해 웹서비스와 만나는 접점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이 개발자도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리드 시스템의 접목을 위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히고 있네요. 모바일 웹서비스는 그야말로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인데, 이처럼 풀-스펙의 경량화 구현체가 기기마다 탑재된다면, Mobile Web 2.0같은 현상이 조금 더 빨리 촉발되지 않을까 싶은 상상도 해봅니다. 이 쪽 소식을 잘 아시는 분께 동향을 듣고 싶네요. (모바일 웹서비스 구현에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구현체로는 이 프로젝트에서도 언급된 kSOAP와 kXML이 있습니다. 미약한 수준이지만,  사실 이 정도도 감지덕지지요) 어떤 커다란 패러다임을 포용하기 위해, 표준이 정립되고, 그 표준이 자리 잡아가는 과정에서 방대해진 기술에 반해, 대안 기술이 출현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안기술은 어디까지나 그 실용성에 비례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겠지요. 하지만, 그 대안기술이 가져다 준 자극으로 인해, 표준이 그만큼 더 실용적인, 더 경량화된 모습으로 간극을 좁혀가는 현상이 뒤따르곤 하기도 합니다. […]


Leave a comment